민중의례라는 것도 있었구나....
세상에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개중 어떤 것은 굉장히 부당하고, 나쁜 일이다. 억울하게 사람을 못살게 굴고 때로는 목숨까지 빼앗는 참혹한 일들도 있다. 물론 지구반대편에서 일어나고 있을 지도 모르는 그어떤 일을 내가 일일이 알아야 할 의무는 없다. 그래서 결론이다. 모르는 것이 죄는 아니다.
하지만 때로 누군가가 '모르는' 것에 대해 서운한 마음을 가질 경우는 있다. 더구나 '모르고 멋대로 떠드는' 경우에는 서운함을 넘어 살짝 화가 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더군다나 그 대상이 알게모르게 화자와 관련이 있는 경우인 상황에 처하게 되면, 화자가 개념없다는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겠다.
민중의례는 광주에서 돌아가신 열사들을 기리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의식이다. 국가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국민의례에 반대하여, 먼저 싸우다 국가의 폭력에 의해 스러져간 열사들을 기리는 묵상을 잠시 하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한번 부르면 끝나는 간단한 절차 되겠다(뭐 사실 하기싫으면 안하면 된다). '자랑스런 대한민국(이것도 그전에는 조국과 민족이었지)'의 '무궁한 영광'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것을 '맹세'하는 국민의례와 비교할만한 것이라고 생각하나?
저것을 '의례'라는 비슷한 이름을 붙였다는 이유로 연장선상에 놓고는 무슨 조폭운운하며 비난하는 이들의 행태도 꼴사납지만, 더 안타까운 것은 그러한 비난의 기저에 '노동조합', 다시말해 '자신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이들'에 대한 미움이 깔려있다는 사실이다.
비난하는 것은 자유다. 하지만 트랙백된 저 글을 쓴 사람이, 혹은 우습지도 않은 리플을 단 사람들이 몇살인지, 어떤 과거를 걸어왔는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지금 일하고 돈을 벌면서 사람 발 디딜 틈도 없는 기숙사에 끼어 새우잠을 자고 쓰레기같은 밥을 먹으며 최저임금도 못받다가 산업재해를 당하고도 보상은 커녕 해고나 당하지 않고 살 수 있게 된 것이 바로 자신이 그렇게 싫어하는 민중의례를 하던 사람들, 그것을 하면서 끌려가고 죽거나 다친 사람들의 싸움의 과실이었다는 사실. 그것을 지금 자기가 누리고 있다는 사실만은 좀 알았으면 한다.
자기가 노예가 아닌 대등한 인간임을 주장하다가 짤리고 끌려가고 손해배상청구 당하는 것이 두려워 침묵하는 주제에 싸우는 이들을 비웃는 것은 역시 자유다. 하지만 그렇게 비웃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그렇게 싸우는 사람의 수가 줄어갈수록 우리 사회의 계층구조는 점차 고착화 되어 갈 것이고, 글을 쓰고, 리플을 적은 당신들이 재벌이 아닌 이상 점차 더 불안한 삶의 처지와 인간적으로 내몰리는 상황 속에 놓여가게 될 것이라는 사실은 생각하면서 비난했으면 한다.
그렇다. 모르는 것이 죄는 아니다.
세상에는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개중 어떤 것은 굉장히 부당하고, 나쁜 일이다. 억울하게 사람을 못살게 굴고 때로는 목숨까지 빼앗는 참혹한 일들도 있다. 물론 지구반대편에서 일어나고 있을 지도 모르는 그어떤 일을 내가 일일이 알아야 할 의무는 없다. 그래서 결론이다. 모르는 것이 죄는 아니다.
하지만 때로 누군가가 '모르는' 것에 대해 서운한 마음을 가질 경우는 있다. 더구나 '모르고 멋대로 떠드는' 경우에는 서운함을 넘어 살짝 화가 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더군다나 그 대상이 알게모르게 화자와 관련이 있는 경우인 상황에 처하게 되면, 화자가 개념없다는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겠다.
민중의례는 광주에서 돌아가신 열사들을 기리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을 골자로 하는 의식이다. 국가에 대한 충성을 맹세하는 국민의례에 반대하여, 먼저 싸우다 국가의 폭력에 의해 스러져간 열사들을 기리는 묵상을 잠시 하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한번 부르면 끝나는 간단한 절차 되겠다(뭐 사실 하기싫으면 안하면 된다). '자랑스런 대한민국(이것도 그전에는 조국과 민족이었지)'의 '무궁한 영광'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충성을 다할'것을 '맹세'하는 국민의례와 비교할만한 것이라고 생각하나?
저것을 '의례'라는 비슷한 이름을 붙였다는 이유로 연장선상에 놓고는 무슨 조폭운운하며 비난하는 이들의 행태도 꼴사납지만, 더 안타까운 것은 그러한 비난의 기저에 '노동조합', 다시말해 '자신의 권리를 위해 싸우는 이들'에 대한 미움이 깔려있다는 사실이다.
비난하는 것은 자유다. 하지만 트랙백된 저 글을 쓴 사람이, 혹은 우습지도 않은 리플을 단 사람들이 몇살인지, 어떤 과거를 걸어왔는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지금 일하고 돈을 벌면서 사람 발 디딜 틈도 없는 기숙사에 끼어 새우잠을 자고 쓰레기같은 밥을 먹으며 최저임금도 못받다가 산업재해를 당하고도 보상은 커녕 해고나 당하지 않고 살 수 있게 된 것이 바로 자신이 그렇게 싫어하는 민중의례를 하던 사람들, 그것을 하면서 끌려가고 죽거나 다친 사람들의 싸움의 과실이었다는 사실. 그것을 지금 자기가 누리고 있다는 사실만은 좀 알았으면 한다.
자기가 노예가 아닌 대등한 인간임을 주장하다가 짤리고 끌려가고 손해배상청구 당하는 것이 두려워 침묵하는 주제에 싸우는 이들을 비웃는 것은 역시 자유다. 하지만 그렇게 비웃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그렇게 싸우는 사람의 수가 줄어갈수록 우리 사회의 계층구조는 점차 고착화 되어 갈 것이고, 글을 쓰고, 리플을 적은 당신들이 재벌이 아닌 이상 점차 더 불안한 삶의 처지와 인간적으로 내몰리는 상황 속에 놓여가게 될 것이라는 사실은 생각하면서 비난했으면 한다.
그렇다. 모르는 것이 죄는 아니다.
덧글
또한 지금 최저임금, 산재걱정없이 일하고 돈을 벌 수 있게 된 것은 노조와 좌파활동가 때문이 아니라, 지식과 기술을 도입하고 자본을 축적하여 국내총생산을 높였기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노동자의 권리를 완벽하게 보장하려고 혁명까지 일으킨 공산주의가 전부 몰락하는 것을 보고서도 노조활동의 과실이라는 말이 나오나요?
노조가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모르시겠다면 소위 주류경제학의 분과학문인 노동경제와 노사관계론부터 다시 공부하고 오세요.
단순히 지식과 기술을 도입하고 자본을 축적하여 국내총생산을 높인다고
최저임금, 산재의 걱정 없이 일하고 돈을 벌 수 있는 사회가 온다고 생각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반면 진정한 민중이란 이명박정부를 압도적으로 지지한 바로 그 사람들을 말하죠.
시대가 다른데 아직도 항일운동가들을 기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시대가 다른데 아직도 호국선열을 기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시대가 다른데 아직도 순교자들을 기념하는 것은 어리석은 일입니다.
이건 뭐라고 말해야 좋을지. 하아.
이거 웃긴데?
반정권세력 운동이랑 반정부운동을 동일시 하지 마세요.
정권 = 정부가 아닙니다.
저 사람들이 정부 존재를 부정하는 것 같습니까, 현재 정권의 문제성에 대해 비난을 하는 것 같습니까?
그런 식이라면, 이전 정권에서는 무려 군인들이 반정부 언사를 펼쳤다는 거로군요. 놀라운데요?
저기 나는 본문에 이런거 쓴적 없는데... 그나마 산재생기면 보상대신 해고되는 일이 좀 줄었다 뿐이지.. --;;;;
공무원이니까 '국가가 아닌 다른 것들에 충성'해서는 안 된다는 골때리는 댓글도 있던데 공무원들은 공무상 모임에서는 거의 언제나 국민의례를 거행합니다. 그건 그거대로 하면 되고, 노동조합원 차원의 행사에서는 그 취지에 맞는 행사를 하면 되는 거죠. 거기에 왜 파쇼따위를 운운하고 공무원이라는 신분을 문제삼는지 모르겠어요. 공무원은 공무원이면서 또한 노동자이며 정치적 권리를 갖는 시민이기도 하거니와, 민중의례는 국가의 폭력에 항의하고 피해자들을 기리는 행사이긴 하지만 국가에 반대하는 행사가 아니잖아요.
공무원은 분명 노동자지만 노동운동의 주체로서의 권리는 분명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헌법도 그렇고요.
teferi/ 님한텐 말이 안 되겠지만 공무원의 노조활동을 보장하는 나라들은 수두룩하네요.
맨 밑을 보면 알겠지만 미국이랑 영국도 공무원 노조는 있는데요.
느리고 불편하게 사는 미국과 영국.
공무원도 노동자이므로 당연히 보장받아야하는 권리입니다.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국가들은 공무원의 노조활동을 보장하고 있으며, 이런 시대에서
공무원의 노조활동을 보장하는 국가는 좌파국가라는 말도 안되는 궤변을 주장하시니 곤란하네요.
teferi님은 공무원의 노조활동을 인정하는 국가들은 좌파국가라고 단정지었습니다.
선진국들이 좌파국가라는 이유를 설명해 주시고
느리고 불편하게 산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근거를 가져와주셨으면 좋겠군요.
그리고 국가와 공무원간에 힘의 불균형이 있느냐는 게 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지 모르겠군요
상식적으로 힘이 어느곳에 주어져 있는지 아실텐데요.
더 이상은 서로에게 시간낭비인 것 같네요.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느리고 불편하지만 노동자의 권리가 존중받는 나라가 있다면 전 후자에서 살고 싶은데요 ㅋㅋㅋ
그러나, 파업의 천국 프랑스의 계속되는 파업과 불편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11/21/2007112100031.html
그리고 병든 사과 속의 벌레로 비유되는 미국의 공립교육의 실패 http://www.donga.com/fbin/output?n=200810020040
유럽은 느리기 그지없다는 증언들
독일 http://elvine.isloco.com/entry/%C7%D1%B1%B9%B0%FA-%B5%B6%C0%CF%C0%C7-%C2%F7%C0%CC?category=968
http://injaejeil.co.kr/global/ja_deuts.jsp?uid=1606&se=2903
스웨덴 http://blog.naver.com/pancroft?Redirect=Log&logNo=130036619670
http://blog.naver.com/hcjun525?Redirect=Log&logNo=70034587793
영국 http://blog.naver.com/ljsppack?Redirect=Log&logNo=130071116620
이럴리가 없어!! 미국은 좌변기가 없는 지상낙원인줄알았는데.. 공산당이 백악관을 장악하고 벽에 빨간칠을 하고있었다니!!!
공무원들이 국민의례를 거부하여 민중의례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둘은 별개고, 공무원의 공식 행사에서는 국민의례를 수행합니다. 다만 노조의 자체적인 행사에서는 자체적인 민중의례를 하겠다는 것 뿐입니다.
느리고 불편한지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해당 국가들은 우리나라에 비해 선진국이며, 저 '느리고 불편하다'는 것 역시 개개인의 주관적인 평가일 뿐입니다. 그런 식으로 까려 든다면야 우리나라 역시 엄청나게 깔 수 있죠. 저런 이야기를 하시려면 신문사설이니 개인블로그같은, 신빙성이 떨어지는 주관적인 자료를 가져오실 게 아니라, 구체적인 통계자료 등의 근거를 가지고 오시기 바랍니다.
'좌경세력'이란 용어를 쓰시는데, 용어 정의부터 짚고 오셔야겠군요. 단순히 좌익이라고 하여 비난받을 이유는 없습니다. 좌익과 우익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사회가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사회죠. 좌익이 반국가를 주장하는 것도 아니고, 좌익이라고 비난을 던지는 진영논리적 해석으로 문제를 끌고가셔봐야 이야기만 자꾸 겉돌 뿐입니다.
그리고 좌파와 우파가 적절한 균형을 이룬다고 했지, 둘을 섞는다고 한 적 없습니다. 적절한 균형을 이룬다는 것은, 적절한 균형을 이루며 양립하는 것을 뜻합니다.
균형 [ 均衡 ]
[명사]어느 한쪽으로 기울거나 치우치지 아니하고 고른 상태.
양립 [ 兩立 ] [명사]
1. 두 가지가 동시에 따로 성립함.
뭐 저사람 상대해주는거 자체가 저사람에게는 "승리"임ㅋ
저런 구멍이 있었네요.
잘 봤네요.
공무원 노조라는 타이틀 달면서, "근무 시간이 아니기 때문에 괜찮아"드립에도 허걱
이건 뭐 전형적인 중2병 좌빨 ㅋㅋ
또한 파시즘 소리가 나오는 것은 국민의례가 모든 사람이 따르는 것을 강요하는 파시즘이기에 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민중의례는 사실상 집단의 압력으로 강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거부하는 사람에게 노조가 불이익을 줄 수 있는 권한은 있으나 거부하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는 전혀 없는데 개인이 각자의 의지에 따라 민중의례에 참석한다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더군다나 민중의례를 모르는 것이 죄는 아니지..라는 제목을 달고서 민중의례에 반대하는 사람은 싸우는 사람들의 수를 줄인다고 비난하고 있는데, 이제 싸우는 사람은 필요없습니다. 필요한 것은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과 해결책을 설득할 수 있는 사람 뿐입니다. 좌파가 해답이라고 믿고서 투쟁하던 이론은 거짓임이 이미 드러났는데도 싸우면 좋아진다고 하는 것은 지적 불성실입니다.
=> 국가에 대한 충성을 거부한 적 없습니다. 민주화 열사를 기념하는 것과 국가에 대한 충성은 상충되지 않습니다. 국가=정부 가 아니며, 과거 민주화 열사들은 국가를 위해, 정부의 잘못된 점들을 고치기 위해 노력하신 분들이지, 국가를 반대한 분들이 아닙니다. 그리고 민중의례는 이들을 기념할 뿐, 투쟁정신을 고취한다거나 하지 않습니다.
사실상 집단의 압력으로 강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강요한 적도 없고, 사실상 안하면 그만입니다. 불이익을 줄 권한도 없고, 주지도 않죠. 그리고 노조가 노조원 개인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수단조차 별로 없는데 무슨 보호하기 위한 장치를 말씀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정부가 공무원 개인에게 불이익을 줄 수 있는 수단이야 있습니다만..
필요한 것은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과 해결책을 설득할 수 있는 사람 뿐입니다.
=> 네 맞습니다. 지혜롭게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과, 해결책을 설득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지, teferi님 처럼 되지도 않는 사실 왜곡으로 문제를 흐리는 사람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좌파가 해답이라고 믿고서 투쟁하던 이론은 거짓임이 이미 드러났는데도 싸우면 좋아진다고 하는 것은 지적 불성실입니다.
=> 여기서 좌파의 투쟁이 나올 이유가 없습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좌파의 투쟁 따위와는 별 관계가 없는 일이며, 싸우면 좋아진다고 외친 적도 없습니다. 그리고 "좌파의 이론이 거짓임이 드러난" 적도 없고, 현대에는 좌파와 우파의 적절한 균형을 지향할텐데요. 횡설수설하지 마시고 본 사안을 정확히 직시하신 후 말씀하시기 바랍니다.
상상으로 이야기하시기 전에 민중의례에 불참하여 불이익을 받은 사례를 제시하시죠.
또 그 권력을 개인에 대한 억압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근거를 대시기 바랍니다.
근거 하나 없이 주장하는 것을, '명백하다'고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이명박도 지만원도 우파소리듣는 이 나라에 우파=미친놈 등식일뿐인가
그냥 저능 수꼴이라고 해라
그런의미에서 님을위한 행진곡은 씩씩한 기운이 느껴지지요. 애국가, 친일파가 만들어서도 그렇고, 빨리 바꾸는게 옳다는 생각이네요.
노조가 어떻게 자신과 의견을 같이하지 않는 자를 응징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기사입니다. 민중의례가 권위적이지 않다구요?
저게 뭐 바람직하다는 이야기가 아닙니다. 저런 사례가 있었다면 저것대로 비판해야 할 일이지(게다가 신문기사 하나만 놓고 이야기하기엔 사실 여부도 정확하지 않고요), 지금 '공무원노조의 민중의례'라는 사안에 직접적으로 가져다 댈 일이 아닙니다. 그냥 두리뭉실하게 '노조는 다 쓰레기다' 따위의 이야기를 하시려면 그건 제대로 된 의견제시가 아니죠.
그리고 민중의례는 열사를 내세우며 산자여 따르라 나서자 하는 게 아닙니다. 단순히 그들을 기리고 추모하는 의미일 뿐이죠. '자신의 의견을 관철할 수 있는 방법을 잘 모르던 시기의 어두운 기억'이라고 하셨는데, 자신의 의견을 관철할 수 있는 방법을 정확하게 알고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뿐더러, 만약 저것이 어두운 기억이라는 것에 동의한다 하더라도, 그 기억과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까지 막을 이유는 없죠. 추모의 의미를 혼동하시는 것 같습니다.
노동자와 민중은 다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의 역사는 발전의 역사이기도 하고, 투쟁의 역사이기도 합니다. 발전한 만큼 투쟁이 있었고, 둘은 상충되는 개념이 아니죠. 그리고 '투쟁이 없었다면 현재 민중의 환경은 더 열악했을 것이다'라는 것은 꽤나 일리있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신화라는 단어를 쓰셨는데, 논점과는 상관없는 이야기지만 마치 '신화'를 '거짓'으로 규정하시는 것 같아서, 신화학에 관심있는 사람 입장에서 굉장히 거슬리네요.
글쎄 근거를 가지고 이야기하시지요. 현재 노조가 열사를 다루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도 못하신 상태이고, 또 그것과 민중의례의 의미가 직접적으로 연계된다는 근거도 없고, 이런 상황에서 그렇게 말씀하셔봐야 설득력이 없습니다. 그리고 과거의 희생을 기리며 거기에서 배울 점을 찾는 것이, 꼭 그 뒤를 따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사람의 행적에는 배울 점과 버릴 점이 공존하는 법이고, 버릴 점은 버리되 배울 점은 취하는 게 좋죠. 그리고 내부의 단합을 이끌어내는 게, 어떤 단체에서든 당연한 행위입니다. 내부의 단합을 이끄는 과정에서 개인에게 폭력이 가해진다면 모를까, 이것 자체로 비난받을 일은 아니라고 보고요. 만약 폭력이 가해진다면 그것에 관한 근거를 제시하시면 될 일입니다.
또 외부에 '과도한'압력을 가한다면 역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가져와서 이야기하셔야죠. 단순히 그렇다고만 하면 누가 알아주겠습니까?
물론 '공무원 노조'의 '현재'사례를 가져오시기 바랍니다. 괜히 엉뚱한 다른 노조나, 혹은 언제적인지도 모를 옛날 일 들춰내셔봐야 소용 없습니다.
http://old.ango.or.kr/jbbs/jview.php?page=6&code=informa&vid%5B0%5D=864&vid%5B1%5D=500&vid%5B2%5D=19148
"찬란한 승리의 그날이 오면, 90만 공무원노동자들의 가슴에 아름다운
투쟁의 화신으로 다시 부활할 것을 확신합니다."
"공직사회개혁과 공무원노동기본권 쟁취 투쟁의 열렬한 전사가 되어, 한치의
흔들림도 주저함도 없이 정의의 물결이 온나라를 뒤덮는 가슴벅찬 새날을
우리의 손으로 건설하여 열사의 영전에 바치고 말겠다는 피 끊는 맹세를
합시다."
"수많은 노동열사, 민족민주열사들의 헌신적인 투쟁의 피와 땀을 거름 삼아 사회민주화와 민주노조운동은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공무원노조는 선배 열사들의 희생 위에서 태어나고 성장해왔습니다. 또한 공무원노조 역시 공무원노동자 노동3권 쟁취 투쟁의 역사 속에서 고 이동현, 고 김병진 열사를 기억하고 있습니다.
6월 11일 민족민주열사·희생자 범국민 추모제 및 열사정신계승 대회가 열릴 예정입니다. 비정규직 투쟁, 주한미군 철수와 한반도 평화 정착, 신자유주의 세계화 저지 투쟁 등 더욱 열사들의 뜨거운 정신과 투쟁을 계승하고 되살려야 할 때입니다. "
"수많은 열사들이 자본과 정권의 탄압에 맞서 싸우고 고통당하다가 죽어갔다. 이러한 죽음의 행진이 멈춰지기 위해서는 산자들의 투쟁과 의지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
그리고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공무원 노조가 '과도한 권력'을 가지고 있다는 근거와, 그 권력을, 노조 소속원들을 '억압하는 수단'으로 사용한다는 근거를 가져오라는 이야기입니다. 좀 사안과 관련없는 이야기는 하지 마세요. 저게 이 사안과 무슨 관계가 있는지, 아무 관련없는 걸 자꾸 들고오시면 난감합니다.
그리고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이전에도 민중의례는 있어왔고, 이들의 정치적 노선과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습니다. 게다가 teferi님은 지금 마치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이 서로 같은 길을 걸어간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네요. 이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특정 정당의 정치적 이슈를 따르고 투쟁일변도로 갈 수 있다는 우려를 한다면 그것은 개인 오해에서 나온 잘못된 우려일 뿐, 실제 사실에 근거한 우려가 아닙니다.
http://www.bukgu.org/ibbs/viewbody.php?code=open_01&number=12426
"공무원노동자의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어떠한 노조를 만들어야 합니까. 직업공무원제를 파괴하려는 신자유주의 정권에 맞서 국민을 위한 공공행정을 지키기 위해 어떤 노조가 필요합니까. 1% 가진자만을 위한 정권의 잘못된 정책을 바꾸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합니까. 공무원 노동기본권을 최소화하고 공무원노조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있는 정권의 탄압을 어떻게 하면 저지할 수 있겠습니까. "
국민을 위한 공공행정은 국민이 규정하는 것이며 공무원이 규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공공부문개혁은 그나마 국민들에게 지지를 얻고 있는 정책입니다. 공무원노조가 힘으로 저지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정권의 정책은 투표로 바꾸는 것이며 정권의 손발에 불과한 공무원노조는 영향력을 행사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정치중립을 선언하고 있는 것입니다. 한줌밖에 안되는 자신들이 민중을 대변한다고 믿는 행태야말로 반민중적입니다.
공무원의 노동기본권은 공공부문을 독점하는 특수한 직업인 만큼 제한되는 것이 마땅하며 노동3권이라는 허명은 파업의 자유와 재정약탈의 자유만을 의미할 뿐입니다. 어차피 국가는 자기돈이 아니기 때문에 얼마든지 국민에게 세금을 거둬서 공무원에 퍼줄 수 있습니다.
공무원에게 국가에 대한 충성을 의미하는 국민의례가 모든 행사마다 권고되는 이유가 무엇이겠습니까? 공무원이 국가에 대해 충성하지 않고 공무원노조라는 협소한 공동체의 이익을 대변하며 공공의 이익이라고 규정짓는 행동을 하는 이런 행태를 막기 위해서가 아닐까요? 민주적 절차에 의해 통제되는 국가의 폭력이 민주적절차에 의해 통제받지 않는 공무원노조의 폭력보다 백배천배 나은 것입니다. 국민의례는 무시하면서 민중의례를 한다는 행태가 적절하지 않은 이유는 열사정신 계승이라 하며 합리적 사고를 마비시키고 옳지 않은 대의에 힘을 쓰게 되며 자신들의 투쟁이 공공의 이익이라고 착각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행태가 바로 공무원노조위원장이 보여주고 있는 행태인 것입니다.
공무를 수행하는 공무원이라는 직업이 우선인가 노동자로써의 공무원이 우선인가라고 물어본다면 어떻게 답하실런지?
공공부문 개혁은 공무원 노동자들의 근로조건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이고 이는 당연히 단체협상의 대상이며, 민간 노조였다면 당연히 파업의 사유가 되는 것입니다. 공무원은 별 것이 아니라 국가, 공공단체에 고용된 사람들일 뿐입니다. 평범한 노동자가 국가 공공단체에서 고용하면 갑자기 슈퍼맨이 됩니까? 아니 역으로 노예가 되는 것입니까? 그들도 어엿한 '시민'입니다. 기본권을 가진 시민이라구요.
정말 유아적인 수준의 토론입니다.
그리고 공무원도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권의 정책에 정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죠. 아무리 공무원의 특수성을 고려해 제한한다 하더라도 자기 자신의 기본권과 직결되는 문제에서까지, 발언하는 목소리를 제한한다는 것은 헌법 정신에 위배되는 일입니다. 공무원은 국가의 고용인이지 국가의 노예가 아닙니다.
공무원노조 공동체의 이익도 공공의 이익입니다. 그런 말씀을 하시려면 공무원 노조가 주장한 것이 다른 국민 집단의 이익과 상충된다는 직접적인 근거를 가져오시기 바랍니다. 게다가 가지고 오신 연설문은 어떤 공공정책을 주장하는 것도 아니고 공무원 노조의 통합을 주장하는 연설입니다. 아무 관련없는 걸 들고오시면 난감하죠?
전반적으로 횡설수설하고 계신데, '협소한 공동체의 이익을 대변하며 공공의 이익이라고 규정짓는 행동'이라는 말을 하시려면 전자와 후자가 상충된다는 전제 하에 가능한데, 둘은 부합할 수도 있고 상충할 수도 있고 사안마다 다릅니다. 전자가 후자와 충돌하는 사례를 가져오세요. 그리고 '민주적절차에 의해 통제받지 않는 공무원노조의 폭력'이라는 것 역시 구체적 근거가 없습니다. 대체 무슨 폭력을 말씀하시는 건지 도통 알 수가 없군요. 또 열사정신의 계승과 합리적 사고가 무슨 관계가 있으며, 공무원 노조의 일, 즉 공무원 집단의 복지를 위해 힘쓰는 일이 왜 옳지 않은 일인지, teferi님은 전혀 합의되지 않은 사항들을 기반으로 아무렇게나 주장하고 계십니다. 몇 번째 이야기인지 모르겠는데, 어떤 사항을 합의하기 위해서는 주장만 펼치지 말고 제대로 된 근거를 제시하세요. 여태 근거라고 제시하신 것들은 죄다 사안과 관련없는 생뚱맞은 것들 뿐이니, 어느 누가 님 주장에 동의하겠습니까?
Picketline/민간노조는 파업으로 먹고사는 게 아니라 회사가 잘되야 먹고삽니다. 그래서 파업에 한계가 있죠. 회사가 망할 정도로 파업하면 일자리를 잃게 됩니다. 그러나 공무원은 무제한 파업할 수 있습니다. 파업해도 정부는 절대 망하지 않으니까요. 이건 시민의 감시와는 차원이 다른 문제입니다. 파업하는 공무원 노조를 때려잡아서 해체시키든가 아니면 그들이 원하는 돈을 내놓든가 둘중의 하나인거죠. GM노조는 엄청난 힘을 발휘하다가 결국에는 시장에 의해 망했습니다. 어떤 GM자본가도 노조를 진압할 수 없었죠.
highseek/시민의 1인으로서 정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공무원의 신분으로 단체를 만들어 명령을 거부하는 것과는 다릅니다. 궤변을 늘어놓지 마세요. 공무원의 직무가 가지는 영향력으로 인하여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이 법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민주적 절차에 의해 선출된 정부가 정책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공공의 이익이며 그런 절차가 잘 돌아가지 않도록 정책을 수행하는 실무자의 위치에 있는 것을 악용하는 것은 협소한 이익인 것입니다.
실무자의 위치를 악용하는 게 아닙니다. 그리고 만약 악용한 사례가 있다면 그것은 그 자체로 비판할 문제지, 본 '민중의례 사안'과 연결지을 문제가 아닙니다.
님 같은 논리라면 아예 노조고 뭐고 다 때려잡고 공무원이든 일반 사원이든 그저 노예로 살아야 한다는 수준낮은 논리밖에 안됩니다. 그게 그렇게 좋으면 teferi님이나 그렇게 사시죠.
불쌍한 건 공무원분들이죠. 나라의 녹을 받아먹다보니, 하고 싶은 말 있어도 제대로 한 마디 못하고 "니들은 정부에게 맹목적으로 충성해야 할 뿐이야"라며 그저 까이기만 하고.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753969
"이미 2001년 조사에서 57%의 러시아인들이 구소련으로의 복귀를 원한다고 답변했다. 2003년 조사에서는 45%가 현재의 자본주의체제보다 소련시절의 사회주의체제가 낫다고 대답했으며, 43%의 응답자가 또 다른 볼셰비키 혁명을 원한다고 답변했다. 이런 여론조사 결과는 눈을 의심하게 할 정도다. 1991년 8월 민주혁명의 위신은 땅에 떨어졌고, 사유제의 도입을 부정적으로 보는 (범죄적 사유화) 사람들이 80%를 넘어섰다."
이 세상은 저항하는 자들에서 비롯하지 않고 기술을 개발하고 지식을 축적하여 문제를 해결한 자들로부터 비롯된 것이니 러시아인들의 생각은 옳은 것이라 하겠습니다. 푸짜르 만세! 방사능 칵테일도 만세!
저항은 억압에 항거하는 것이며, 억압이 없다면 저항도 없습니다. 죽음에 대한 책임은 저항이 아니라 억압에 있죠.
가르치는게 괜히 그러는거 아니죠
https://www.omgka.com 우리카지노사이트
https://www.omgka.com/theking 더킹카지노
https://www.omgka.com/sands 샌즈카지노
https://www.omgka.com/first 퍼스트카지노
https://www.omgka.com/yes 예스카지노
https://www.omgka.com/super 슈퍼카지노
https://www.omgka.com/gatsby 개츠비카지노
https://www.omgka.com/33 33카지노
https://www.omgka.com/world 월드카지노
https://www.omgka.com/merit 메리트카지노
https://www.omgab.com 우리카지노사이트
https://www.omgab.com/theking 더킹카지노
https://www.omgab.com/sands 샌즈카지노
https://www.omgab.com/first 퍼스트카지노
https://www.omgab.com/yes 예스카지노
https://www.omgab.com/super 슈퍼카지노
https://www.omgab.com/gatsby 개츠비카지노
https://www.omgab.com/33 33카지노
https://www.omgab.com/world 월드카지노
https://www.omgab.com/merit 메리트카지노
https://www.bbdd66.com 우리카지노사이트
https://www.bbdd66.com/theking 더킹카지노
https://www.bbdd66.com/sands 샌즈카지노
https://www.bbdd66.com/first 퍼스트카지노
https://www.bbdd66.com/yes 예스카지노
https://www.bbdd66.com/super 슈퍼카지노
https://www.bbdd66.com/gatsby 개츠비카지노
https://www.bbdd66.com/33 33카지노
https://www.bbdd66.com/world 월드카지노
https://www.bbdd66.com/merit 메리트카지노
https://www.omgqq.com 우리카지노사이트
https://www.omgqq.com/thekingcasino 더킹카지노
https://www.omgqq.com/sandscasino 샌즈카지노
https://www.omgqq.com/firstcasino 퍼스트카지노
https://www.omgqq.com/yescasino 예스카지노
https://www.omgqq.com/supercasino 슈퍼카지노
https://www.omgqq.com/gatsbycasino 개츠비카지노
https://www.omgqq.com/33casino 33카지노
https://www.omgqq.com/worldcasino 월드카지노
https://www.omgqq.com/merit 메리트카지노